📌 tkinter란?

tkinter는 파이썬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라이브러리입니다.
별도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며, 간단한 데스크탑 프로그램을 빠르게 만들 수 있어요.

  • 🎁 기본 포함: pip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
  • 🧩 다양한 위젯 지원: 버튼, 텍스트 박스, 라벨 등
  • 💡 간단한 데스크탑 앱 제작에 적합

🧪 간단한 사용 예제

import tkinter as tk

# 창 만들기
root = tk.Tk()
root.title("나의 첫 GUI")
root.geometry("300x200")

# 라벨 추가
label = tk.Label(root, text="Hello, Tkinter!")
label.pack()

# 버튼 클릭 시 동작할 함수
def say_hello():
    label.config(text="안녕하세요!")

# 버튼 추가
button = tk.Button(root, text="클릭!", command=say_hello)
button.pack()

# 창 실행
root.mainloop()

✅ 실행 결과: 버튼이 있는 작은 창이 뜨고, 클릭하면 "안녕하세요!"라는 문구가 표시돼요.

Tkinter 구동화면


🧩 자주 쓰는 tkinter 위젯들

위젯 설명

Label 텍스트 출력
Button 버튼 (클릭 이벤트 연결 가능)
Entry 한 줄 텍스트 입력창
Text 여러 줄 텍스트 입력창
Checkbutton 체크박스
Radiobutton 라디오 버튼
Listbox 항목 리스트 선택
Frame 위젯 그룹을 묶는 컨테이너

🔧 tkinter는 언제 쓰면 좋을까?

  • 텍스트 기반 프로그램에 간단한 UI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고 싶을 때
  • 데이터 입력용 툴을 빠르게 만들고 싶을 때
  • 업무 자동화 스크립트에 GUI 버튼을 붙이고 싶을 때
  • 계산기, 폴더 정리기, 파일 선택기 등 간단한 데스크탑 앱을 만들고 싶을 때

 

 

 

🐍

파이썬(Python)은 문법이 간단하고 다양한 라이브러리 덕분에 웹 개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자동화, 스크립트 작업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랑받는 언어입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의 기본 문법부터 대표 라이브러리, 꿀팁 기능, 그리고 활용 예시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1. 파이썬 기본 문법

✅ 변수와 자료형

x = 10          # 정수
pi = 3.14       # 실수
name = "Alice"  # 문자열
is_ok = True    # 불리언

✅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erson = ("Alice", 25)
info = {"name": "Alice", "age": 25}

✅ 조건문 & 반복문

if x > 5:
    print("크다")
else:
    print("작거나 같다")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while x > 0:
    x -= 1

✅ 함수 정의

def greet(name):
    return f"Hello, {name}"

print(greet("Alice"))

✅ 클래스 & 객체지향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def say_hello(self):
        print(f"Hi, I'm {self.name}")

p = Person("Bob")
p.say_hello()

📚 2. 대표적인 라이브러리

분야 라이브러리 설명

데이터 분석 pandas, numpy 데이터 처리와 수치 계산
시각화 matplotlib, seaborn, plotly 그래프 및 차트 시각화
웹 크롤링 requests, BeautifulSoup, selenium 웹 정보 추출
머신러닝 scikit-learn, xgboost 모델 훈련과 평가
딥러닝 tensorflow, keras, pytorch 인공신경망 모델링
웹 개발 flask, django 백엔드 웹 프레임워크
자동화/스크립트 openpyxl, os, shutil 엑셀 작업, 파일 관리
정규표현식 re 문자열 패턴 탐색

🛠️ 3. 유용한 기능 모음

📌 리스트 컴프리헨션

squares = [x**2 for x in range(10) if x % 2 == 0]

📌 람다 함수

add = lambda a, b: a + b
print(add(3, 5))

📌 예외 처리

try:
    result = 10 / 0
except ZeroDivisionError:
    print("0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

📌 파일 입출력

with open("test.txt", "w") as f:
    f.write("Hello, file!")

📌 데코레이터

def deco(func):
    def wrapper():
        print("시작")
        func()
        print("끝")
    return wrapper

@deco
def say():
    print("Hello!")

say()

🚀 4. 파이썬 활용 예시

🔹 데이터 분석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data.csv")
print(df.describe())

🔹 엑셀 자동화

from openpyxl import load_workbook

wb = load_workbook("sample.xlsx")
ws = wb.active
ws["A1"] = "자동 입력 완료!"
wb.save("sample_result.xlsx")

🔹 웹 크롤링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res = requests.get("https://example.com")
soup = BeautifulSoup(res.text, "html.parser")
print(soup.title.text)

🔹 간단한 웹 서버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Hello Flask!"

app.run(debug=True)

 

 

📌 VBA 기본 문법 총정리

1. Sub: 서브 프로시저 (Sub Procedure)

✅ 개념

  • Sub는 VBA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프로시저)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 Sub로 시작하여 End Sub으로 끝나며, 호출하면 코드가 실행됩니다.
  • 반환값이 없는 함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기본 문법

Sub 프로시저이름()
    ' 실행할 코드
End Sub

✅ 예제: 메시지 박스 출력

Sub SayHello()
    MsgBox "안녕하세요! VBA를 배우고 있습니다."
End Sub

💡 실행 방법:
VBA 편집기(ALT + F11)에서 코드를 입력하고, SayHello를 실행하면 메시지 박스에 "안녕하세요! VBA를 배우고 있습니다."가 표시됩니다.


2. Dim: 변수 선언 (Declare In Memory)

✅ 개념

  • Dim은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됩니다.
  • VBA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 반드시 선언하지 않아도 되지만, 명확한 코드를 위해 변수 선언을 권장합니다.
  • 특정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문법

Dim 변수이름 As 데이터타입

✅ 예제: 변수 선언 후 사용

Sub ShowAge()
    Dim age As Integer  ' 정수형 변수 선언
    age = 25
    MsgBox "당신의 나이는 " & age & "세 입니다."
End Sub

💡 설명:

  • Dim age As Integer → age 변수를 정수형(Integer)로 선언
  • age = 25 → 변수를 25로 설정
  • MsgBox "당신의 나이는 " & age & "세 입니다." → 결과 출력

✅ 주요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크기 설명

Integer 2바이트 -32,768 ~ 32,767 정수
Long 4바이트 더 큰 정수값
Single 4바이트 소수점이 있는 실수
Double 8바이트 더 정밀한 실수
String 가변 문자열 저장
Boolean 2바이트 True 또는 False 값

3. Set: 객체(Object) 변수 할당

✅ 개념

  • Set은 객체(Object) 변수를 할당할 때 사용합니다.
  • Dim으로 선언한 변수가 객체 타입일 경우, Set을 사용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Workbook, Worksheet, Range 같은 엑셀 객체를 다룰 때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기본 문법

Dim 변수이름 As Object
Set 변수이름 = 객체

✅ 예제: 특정 워크시트 참조하기

Sub SelectSheet()
    Dim ws As Worksheet  ' 워크시트 변수 선언
    Set ws = ThisWorkbook.Sheets("Sheet1")  ' "Sheet1"을 ws 변수에 할당
    ws.Activate  ' 해당 워크시트 활성화
End Sub

💡 설명:

  • Dim ws As Worksheet → ws 변수를 워크시트 객체로 선언
  • Set ws = ThisWorkbook.Sheets("Sheet1") → Sheet1을 ws에 할당
  • ws.Activate → 해당 시트를 활성화

✅ Set과 Dim 차이점

  • Dim은 일반 변수(숫자, 문자열 등) 선언 시 사용
  • Set은 객체를 변수에 할당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

4. Function: 값 반환이 가능한 프로시저

✅ 개념

  • Sub와 비슷하지만, Function은 반환값이 있는 함수입니다.
  • 특정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값을 돌려줄 때 사용합니다.

✅ 기본 문법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수) As 데이터타입
    ' 실행할 코드
    함수이름 = 결과값
End Function

✅ 예제: 두 숫자의 합을 반환하는 함수

Function AddNumbers(a As Integer, b As Integer) As Integer
    AddNumbers = a + b
End Function

Sub TestFunction()
    Dim result As Integer
    result = AddNumbers(5, 10)
    MsgBox "결과: " & result
End Sub

💡 설명:

  • Function AddNumbers(a As Integer, b As Integer) As Integer → 두 개의 정수를 받아 합을 반환
  • AddNumbers = a + b → 계산된 결과를 반환
  • result = AddNumbers(5, 10) → 5 + 10 = 15 값을 저장
  • MsgBox "결과: " & result → 결과 출력

5. If 조건문과 For 반복문

✅ If 조건문 예제

Sub CheckNumber()
    Dim num As Integer
    num = 10
    
    If num > 5 Then
        MsgBox "숫자가 5보다 큽니다."
    Else
        MsgBox "숫자가 5 이하입니다."
    End If
End Sub

✅ For 반복문 예제

Sub LoopExample()
    Dim i As Integer
    
    For i = 1 To 5
        MsgBox "반복 횟수: " & i
    Next i
End Sub

💡 설명:

  • For i = 1 To 5 → 1부터 5까지 반복
  • MsgBox "반복 횟수: " & i → 현재 반복 횟수 출력
  • Next i → 다음 반복 실행

📌 마무리

지금까지 VBA에서 자주 쓰이는 기본 문법(Sub, Dim, Set, Function, If, For)을 정리했습니다.

🔥 핵심 요약

  • Sub → 프로시저(반환값 없음)
  • Dim → 변수 선언
  • Set → 객체 변수 할당
  • Function → 값을 반환하는 함수
  • If ~ Then → 조건문
  • For ~ Next → 반복문

 

1. 반복문, 조건문

  • 반복문 기본 문법: for, while, do-while 문을 이해하고, 반복 조건의 평가 순서를 숙지.
    • while 루프:
      • 조건을 먼저 평가하고 조건이 true일 경우 루프 실행.
      • 조건이 false이면 루프를 한 번도 실행하지 않을 수 있음.
      • int count = 0;

        while (count < 5) {
            System.out.println("Count is: " + count);
            count++;
        }
    • do-while 루프:
      • 조건을 나중에 평가하므로, 루프 본문이 최소 1번 실행됨.
      • int count = 0;

        do {
            System.out.println("Count is: " + count);
            count++;
        } while (count < 5);
        • Count is: 0 //출력 값들   
          Count is: 1  
          Count is: 2  
          Count is: 3  
          Count is: 4  
  • 중첩 루프: 외부 루프와 내부 루프의 상호작용 및 변수 스코프.
  • 확장 for 문: 배열이나 컬렉션을 순회할 때 자주 사용.
  • public class Loo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i = 0; i < 3; i++) {
                for (int j = 0; j < 2; j++) {
                    System.out.println("i: " + i + ", j: " + j);
                }
            }
        }
    }
  • 조건문 기본 문법: if-else, switch-case의 조건식의 결과와 흐름
  • public class IfEls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5;
            if (num > 0) {
                System.out.println("Positive");
            } else {
                System.out.println("Non-positive");
            }
        }
    }
  • public class Switc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day = 3;
            switch (day) {
                case 1:
                    System.out.println("Monday");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Tuesday");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Other day");
            }
        }
    }

2. 산술 연산자

  • 우선순위: +, -, *, /, % 등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이해.
  • 증감 연산자: 전치(++x)와 후치(x++)의 동작 차이.
  • 복합 대입 연산자: +=, -=, *=, /=, %= 등.
  • public class Arithmetic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5;
            int result = ++a + a--;
            System.out.println("Result: " + result); // 12
        }
    }

3. 생성자(Constructor)

  • 기본 생성자와 사용자 정의 생성자: 생성자가 없는 경우 디폴트 생성자가 자동 추가됨. 반대로 생성자를 정의 하면 디폴트 생성자는 자동적으로 추가되지 않는다!
  • 1. 컨스트럭터 명과 클래스명과 동일해야한다
    2. 인스턴스 생성시에만 쓸 수 있다
    3. 반환값의 형을 기술할 수 없다
    4. private수식이 가능하다
  • this()와 super(): 다른 생성자 호출 및 상위 클래스 생성자 호출.
  • 오버로딩: 파라미터의 수나 타입이 다른 생성자 정의 가능.
  • class Person {
        String name;

        Person() {
            this("Unknown");
        }

        Person(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Constructo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erson p1 = new Person();
            Person p2 = new Person("John");
            System.out.println(p1.name); // Unknown
            System.out.println(p2.name); // John
        }
    }

4. 계승과 다형성

  • 상속의 기본 원칙:
    • 단일 상속만 지원.
    • 생성자와 private한 필드와 메서드는 계승안된다
    • 하나의 클래스로부터 복수의 서브클래스를 정의하는 것은 가능
    • super.메서드명, super.필드명 으로 슈퍼클래스의 인스턴스 메서드나 필드에 접근가능
    • is-a 관계를 명확히 이해.
      • is-a관계가 아닐경우,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클래스맵을 그려보는게 좋다
      •  
        계승
  • 다형성:
    • 슈퍼클래스 타입으로 서브클래스 객체 참조.
    • 오버라이드된 메서드가 서브클래스에서 실행.
    • class Animal {
          void sound() {
              System.out.println("Animal makes a sound");
          }
      }

      class Dog extends Animal {
          @Override
          void sound() {
              System.out.println("Dog barks");
          }
      }

      public class Polymorphism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imal a = new Dog();
              a.sound(); // Dog barks
          }
      }

5. 오버라이드와 오버로드

  • 오버라이드:
    • 메서드 시그니처(이름, 파라미터리스트)와 반환 타입은 슈퍼클래스와 동일하거나 서브클래스여야 한다.
    • 접근 제어자는 슈퍼클래스보다 더 넓거나 같아야 함.
    • 오버라이드 (Override)조건:
      • 메서드 이름, 매개변수의 타입과 개수, 리턴 타입이 완전히 동일해야 합니다.
      • 접근 제어자는 부모 메서드보다 더 넓거나 같아야 합니다.
        • 예: 부모가 protected면 자식은 protected 또는 public 가능.
      • 부모 메서드가 throws로 선언한 예외보다 같거나 적은 범위의 예외만 던질 수 있습니다.
      • 메서드가 static 또는 final로 선언된 경우에는 오버라이드할 수 없습니다.
  • 오버로드:
    • 같은 이름의 메서드가 다른 파라미터 리스트를 가짐.
    • 오버로드 (Overload)조건:
      • 메서드 이름이 동일해야 합니다.
      • 매개변수의 타입, 개수, 순서 중 하나 이상이 달라야 합니다.
      • 리턴 타입은 상관없으며, 오직 매개변수의 차이로 구분됩니다.
      • 접근 제어자나 예외 처리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6. 접근제어자

  • private, default, protected, public:
    • 클래스, 패키지, 상속, 외부 접근 수준 결정.
    • public
      • 제한 없음.
      • 모든 클래스, 패키지, 외부에서 접근 가능.
    • protected
      • 동일 패키지 + 다른 패키지의 하위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 상속 관계에서 주로 사용.
    • (default)
      • 동일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 접근 제어자를 명시하지 않을 때 적용.
    • private
      • 동일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 가장 제한적, 외부 접근 불가.
      • 생성자도 메서드의 한 종류이기때문에 접근제어자 사용이 가능하다 (클래스내의 생성자, 필드, 클래스의구상메서드에 사용 가능)
        • 서브클래스의 super도 불가능하다!!
        • 같은 클래스 라면 this.프라이빗메서드명 도 호출 가능 
  • class Example {
        private int value = 10;

        private void showValue() {
            System.out.println("Value: " + value);
        }

        public void accessPrivate() {
            showValue();
        }
    }

    public class AccessModifie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ample ex = new Example();
            ex.accessPrivate(); // Value: 10
        }
    }
  • 캡슐화
    • 필드는 private, 접근은 public 메서드 사용  
    • class Studen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Encapsulation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setName("Alice");
              System.out.println(student.getName()); // Alice
          }
      }

7. static 필드 및 메서드

  • 특징:
    • 클래스 단위에서 공유.
    • 객체 생성 없이 사용 가능.
    • static 메서드에서는 인스턴스 멤버 접근 불가.
      • static 필드나 static 메서드에 접근 가능하다 (인스턴스 필드, 메서드에는 접근 불가)

8. 배열

  • 초기화: 배열 선언 및 초기화 방식.
  • 참조값: 배열의 참조값 변경 가능.
  • 데이터 형의 뒤에 []를 써줘야함
  • public class Array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s = {1, 2, 3};
            int[] otherNumbers = numbers;
            otherNumbers[0] = 10;

            System.out.println(numbers[0]); // 10
        }
    }

9. 인터페이스

  • 정의:
    • 정보은닉을 위해 쓰인다.
    • 필드와 메서드는 모두 public이어야 한다 
    • public static final 필드와 public abstract 메서드로만 구성. (암묵적)
      • 인터페이스의 필드는 상수로 선언된.
        따라서 값을 초기화하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
      • public interface Example {
            String hi = "Hello";  // 가능 (public static final 자동 추가)
            int value;            // 컴파일 에러 (초기화 필요)
        }
    • default와 static 메서드도 포함 가능(Java 8 이후).
    • interface Animal {
          void sound();
      }

      class Cat implements Animal {
          public void sound() {
              System.out.println("Cat meows");
          }
      }

      public class Interfac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imal animal = new Cat();
              animal.sound(); // Cat meows
          }
      }
  • 구현:
    • 클래스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구현 가능.

10. 패키지 및 import

  • 패키지:
    • 소스 파일의 첫 줄에 선언.
  • import:
    • *는 패키지 내 모든 클래스를 포함하나, 하위 패키지는 포함하지 않음.
    • 임포트 선언은 임포트하고 싶은 클래스의 완전수식클래스명을 지정하던가 그 클래스가 소속하는 패키지명과 와일드카드 표기로 패키지 내 전부를 임포트하는 식으로도 지정할 수 있다

11. null 및 기본 값

  • 참조형 변수: 초기화되지 않으면 null.
  • 기본값:
    • 정수: 0, 실수: 0.0, 논리: false, 참조형: null.

12. 추상 클래스

  • 추상 클래스는 인스턴스화할 수 없으며 추상 메서드를 포함
  • 명시적으로 abstract를 적어주어야 컴파일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 abstract class Shape {
        abstract void draw();
    }

    class Circle extends Shape {
        void draw() {
            System.out.println("Drawing Circle");
        }
    }

    public class AbstractClass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hape shape = new Circle();
            shape.draw(); // Drawing Circle
        }
    }

13. 기타

  • 자바의 특징:
    • 플랫폼 독립성, 가비지 컬렉션, 멀티스레드 지원.
      • 1.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는다
        2. 아키텍쳐에 의존하지 않는다
        3. 자동으로 메모리가 해방된다
        4. 실행시에 컴파일하면서 실행하는 실행시컴파일러 방식을 채용한다
        5. 멀티스레드에의한 병행처리를 서포트한다
        6. 보안성능이 높다
        7. Write Once, Run Anywhere가 표어임
    • java SE에는 GUI를 실현하는 AWT나 Swing, JavaFx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이 베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려면 JavaSE가 맞다. Java EE는 웹베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Java ME는 휴대전화나 PDA,공업용로봇어플리케이션 개발, Java DB는 JDK에 부속하는 간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소프트웨어이다.
 

 

 


주의할 점 및 시험 대비

  1. 자주 틀린 항목 보강:
    • 반복문과 중첩 루프: 변수 초기화 및 스코프 처리.
    • 접근제어자와 캡슐화: private의 정확한 사용법.
    • 생성자와 초기화 블록: this()와 super()의 위치 및 사용.
  2.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
    • 기본 문법: 반복문, 조건문, 연산자.
    • 객체지향: 상속, 다형성, 인터페이스.
    • 기타: static과 기본 생성자.
  3. 문제 풀이 시 체크리스트:
    • 메서드와 생성자의 서명 확인.
    • 상속 관계도 작성.
    • static과 인스턴스 멤버의 접근 가능 여부.

Java SE Bronze (Available only in Japan) Exam Number: 1Z0-818

Format: 選択問題

Duration: 65 分

Exam Price: ¥14,725

Number of Questions: 60 問

Passing Score: 60%

 

https://education.oracle.com/ko/x/pexam_1Z0-8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