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터네트워킹

1.1 네트워크 연결 장비

  • 게이트웨이(Gateway):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 변환 및 통신을 지원
  • 리피터(Repeater): 물리 계층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 연장
  • 브리지(Bridge):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트래픽을 관리
  • 라우터(Router): 네트워크 계층에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

2. 프로토콜 및 데이터 단위

2.1 데이터 단위

  •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응용 계층 데이터 단위
  • PPDU (Presentation Protocol Data Unit): 표현 계층 데이터 단위
  • SPDU (Session Protocol Data Unit): 세션 계층 데이터 단위
  • TPDU (Transport Protocol Data Unit): 전송 계층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TCP에서 사용
    • 데이터그램(Datagram): UDP에서 사용
  • NPDU (Network Protocol Data Unit):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단위 (패킷)
  • DPDU (Data Link Protocol Data Unit):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단위 (프레임)

3. 네트워크 주소 체계

3.1 IP 주소

  • IPv4: 32비트 주소 체계 사용
  • IPv6: 128비트 주소 체계 사용 (IPv4 확장 버전)

3.2 호스트 이름과 주소 변환

  • DNS(Domain Name System):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 변환 수행
  • 호스트 이름 구조: <호스트>.<단체이름>.<단체종류>.<국가도메인> 형식

3.3 주소 정보 관리

  • 호스트 파일(Hosts File):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텍스트 파일

4. 요약

  •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간 통신을 연결하고, 리피터는 신호 증폭, 브리지는 네트워크 세그먼트 연결, 라우터는 데이터 패킷을 최적의 경로로 전달함.
  • 데이터 단위는 계층별로 다르며, TCP는 세그먼트, UDP는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 데이터 링크 계층은 프레임을 사용함.
  • IPv4는 32비트,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DNS를 통해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변환이 이루어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