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데이터2 관계 데이터 연산2 1. 조인 연산자1.1. 조인의 정의조인은 두 릴레이션에서 조건에 따라 관련된 튜플을 결합하는 연산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연산 중 하나.1.2. 조인의 유형세타 조인 (Theta Join)조건식에 {=, , , =} 등의 연산자를 사용.예: R ⋈ (R.Attribute θ S.Attribute) S동등 조인 (Equi-join)세타 조인의 한 형태로, 조건식이 =일 때 사용.결과: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들의 조합.자연 조인 (Natural Join)동등 조인 후, 중복 속성을 제거.주로 릴레이션 간 관련 데이터를 연결하는 데 사용.예: R ⋈N S중복된 속성은 하나만 유지.외부 조인 (Outer Join)조인 실패 시에도 튜플을 포함하며, NULL 값을 추가.왼쪽 외부 조인: 왼쪽 릴레이션의.. 2024. 11. 24. 관계 데이터 연산 1 1. 관계데이터연산의 이해정의: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에 연산 수행.종류:관계대수: 절차적 언어(How, What)로, SQL의 이론적 기초.관계해석: 비절차적 언어(What)로, 원하는 데이터만 명시.2. 관계대수의 개념릴레이션을 처리하는 연산 집합으로, 새로운 릴레이션 생성.연산의 성질:단일/두 릴레이션을 입력으로 받아 결과 릴레이션 반환.폐쇄성: 결과 릴레이션은 다른 연산의 입력으로 사용 가능.3. 관계대수 – 일반 집합 연산자연산 종류:합집합 (∪): 두 릴레이션의 모든 투플 반환.교집합 (∩): 두 릴레이션 모두에 속한 투플 반환.차집합 (-): 첫 번째 릴레이션에만 속한 투플 반환.카티션 곱 (×): 두 릴레이션의 모든 조합 반환.특성: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은 합병 가능성이 필요.. 2024. 11. 23. 이전 1 다음